인사이트

2025 청년도약계좌 개편! 5월 2일 이후 가입자 주의사항 총정리

명수형 2025. 5. 17. 11:30
반응형

안녕하세요, 오늘은 2025년 5월 2일부터

달라진 청년도약계좌 소식을 전해드리려고 해요.

청년분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검색해봤을 그 통장!

이번에는 소득 기준 완화, 정부 지원 확대 등 꽤

중요한 개편이 있었답니다.

청년도약계좌란?

 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

이하 청년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,

정부가 일정 비율의 지원금과 이자를 얹어

5년 뒤 최대 5,000만 원 이상 자산을 만들 수 있게

도와주는 정책형 통장이에요.

정부의 대표 청년 자산형성 프로그램 중 하나로,

직장인, 알바생, 프리랜서 등

소득이 있는 청년이라면 누구나

관심 가질만한 상품입니다.

5월 2일 이후, 뭐가 달라졌을까?

① 총급여 기준 상향!

기존에는 연 7,500만 원 이하만 가능했는데요,

5월 2일부터는 총급여 9,600만 원 이하까지 확대돼 훨씬 많은 분들이 신청할 수 있게 되었어요.

② 자산 기준도 일부 완화

총자산 2.6억 원 이하 기준이 그대로지만,

청년들이 전세금, 학자금대출 등으로 자산이 부풀려 보이는 경우를 고려해 심사 기준이 조금 더 유연하게 적용된다고 합니다.

월 얼마 넣고, 얼마 받게 될까?

 

• 매달 납입 가능 금액: 10만 원~70만 원 사이

• 가장 일반적인 플랜: 매달 40만 원씩, 총 5년 = 본인 저축금 2,400만 원

• 만기 수령액:

→ 정부지원금 + 이자까지 합산 시,

최대 5,000만 원 이상 가능

정부지원은 소득에 따라 다르게 지원되므로,

정확한 예상 금액은 은행 상담 혹은

‘청년도약계좌 계산기’를 활용해보시는 것도

추천드려요.

어디서 신청할 수 있나요?

현재 청년도약계좌는 아래 은행 앱을 통해

간편하게 신청 가능해요.

•신청 가능한 은행 (2025년 5월 기준)

→ 신한은행, 우리은행, 하나은행, KB국민은행, IBK기업은행, 농협, 부산·경남·광주은행 등

필요 서류는 홈택스에서

발급 가능한 소득확인 증명서와

건강보험 자격확인서 등이 있으니

미리 준비해두세요.

누구에게 유리할까?

• 연소득 5,000만 원 이하 사회초년생

• 자취 중인 청년, 전세금 마련이 고민이라면

• 기존 청년내일저축계좌에서 탈락한 분들

특히 5월 2일 이후 기준이 완화되었기 때문에,

예전에 안 됐던 분들도 한 번 더 신청해볼 가치가 있어요.

주의사항 체크!

• 중도해지 시: 정부지원금은 환수될 수 있어요.

• 기존 통장과 중복 불가: 청년내일저축계좌, 희망저축계좌 등과 중복 사용은 불가합니다.

• 소득 기준은 전년도 기준으로 확인하므로, 미리 확인하고 신청하세요!

#청년도약계좌 #청년통장 #2025청년정책 #자산형성통장 #5월2일개편 #청년지원금 #정부정책 #소득기준완화 #정부지원통장 #청년적금

 
반응형